
양초롱
Chorong YANG
학력
2014 | 프랑스 그르노블 2대학(UPMF) 현대미술사 박사 |
2008 | 조선대학교 미학-미술사학과 박사 수료 |
2005 | 조선대학교 미학-미술사학과 석사 |
2003 | 조선대학교 사학과 학사 |
주요 경력
現 |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회화학부 초빙교수 |
2022~2025 | 부산대학교 예술문화영상학과 강사 |
2019~2025 | 조선대학교, 전남대학교 강사 |
2019~2023 | 담양 해동문화예술촌 관장 |
기획 – 전시
2025 | <아침놀>, 단독, 김냇과, 광주, 예술공간집, 예술경영지원센터 |
2023 | <비록 그롤지라도>, <인간(의) 조건>, <날 것, 그대로의 것>, 단독, 해동문화예술촌, 담양군문화재단 |
2022 | <흔적의 아우라>, <폭력에 관한 성찰>, <모순>, 단독, 해동문화예술촌, 담양군문화재단 |
2021 | <내면의 실타래>, <악행의 평범성>, <기억의 주름>, 단독, 해동문화예술촌, 담양군문화재단 |
2020 | <마법 같은 현실, 매트릭스>, <뜨거운 오월, 밀알 하다>, <카오스, 관계의 알고리즘>, 단독, 해동문화예술촌, 담양군문화재단 |
2019 | <도시 리듬과 예술적 행동>, <꿈>, 단독, 해동문화예술촌, 담양군문화재단 |
기획 – 예술프로젝트
2023~2024 | 제주민속촌 미디어 아트 테마파크 <벨섬>, <도채비불꽃> 기획 |
2020 | <문화를 빚는 도시, 달빛예술마을>, 담양, 공공미술[문화뉴딜]우리동네미술프로젝트, 문화체육관광부 |
2018 | 광주비엔날레 작가시민협력프로그램 <정, 井 情 Jeong>, 협업기획, 평론, 광주비엔날레 재단 |
기획 – 세미나
2025 | <부조리, 자유와 책임>, 기획, 사회, 예술공간집, 예술경영지원센터, 미로센터, 광주 |
2022 | <폭력에 관한 성찰, 시대의 어둠을 넘어>, 담양군문화재단, 담양군 |
2020 | 광주 5.18 40주년 기념 학술세미나 <연대와 상생, 경계 너머>, 기획, 사회, 오월미술제추진위원회, 아시아문화원, 국립아시아문화전당 |
연구
2020~2023 | 신진연구자지원사업, 단독, 한국연구재단 |
2018 | 숙련기술전수자 지원직종 개선방안 연구, 2인, 한국산업인력공단글로벌숙련기술진흥원, 한국산업인력공단 |
2017~2019 | 박사후국내연수지원사업, 단독, 한국연구재단 |
평론
2025 | 전시평론 “광주근대문화유산의 기억 : 기록과 미학 사이”, 하정웅미술관, 광주 전시평론 “잔혹한 현실에서 피어난 환상, 엔트로피의 세계”, 대구문화예술회관, 대구 전시평론 “그림-드로잉에 내재된 반복과 차이”, 개인전, 굿스페이스, 대구 전시평론 “삶의 조각들 : 존재의 기쁨과 환희의 순간들”, 개인전, 무등현대미술관, 광주 |
2024 | 작가연구 “일상의 변주, A와 A사이에서”, 광주시립미술관, 광주 전시평론 “의미 있는 형식, 이미지의 탈주와 생성의 그리드”, 개인전, 광주신세계갤러리, 광주 전시평론 “바깥에서, 기다림의 기다림”, 하정웅미술관, 광주 전시설명 “제목 없음”, 무등현대미술관, 광주 |
2023 | 작품평론 “방치된 현실, 배회하는 유령”, 보물섬, 경산 전시평론 “담(譚)의 틈 : 펼쳐진 풍경 속 은폐된 이야기”, 개인, 영천문화재단 작가연구 “머뭇거림: 연출 같은 현실 속 사색적 삶”, 광주시립미술관, 광주 전시평론 “조각의 확장: 대상, 공간, 시간의 삼중주”, 개인, 부산 전시평론 “몸과 몸짓 : 인간 삶의 리얼리티”, 개인, 광주 |
2022 | 전시평론 “달이 머무는 곳, 마음의 집”, 개인, 광주신세계갤러리, 광주 작가연구 광주비엔날레 GB 작가-비평가 매칭, 조정태, 임용현, 광주비엔날레재단, 광주 |
2021 | 전시평론 “쓸모있음과쓸모없음의 이중주”, 개인전, 광주 전시평론 “현실과 악몽, 그 틈새의 홀로됨” 개인전, 김냇과, 광주 전시평론 “주름진 몸, 생성되는 세계”, 개인전, 김냇과, 광주 전시평론 “경계, 의미의 중첩과 미끄러짐”, 개인전, 표갤러리, 서울 작품연구 “쌀 한 톨에 대한 단상”, 작가작품집, 독일 |
2020 | 작가연구 “중첩된 피부, 사회의 결”, 광주문화재단 작가연구 “살아있는 신체적 리듬의 속도”, 광주문화재단 전시평론 “산수, 그리고 바람의 흔적”, 개인전, 광주 |
2019 | 전시평론 “존재의 주름”, 영천문화재단 전시평론 “문턱의 시간, 경계의 멜랑콜리”, 개인전, 광주 전시평론 “자연(삶)의 순환과 몽상의 의식”, 개인전, 광주 |
2017 | 전시평론 “기억의 이중주: 시간과 공간의 내면화”, 개인전, 양림미술관, 광주 전시평론 “봉다리의 창조적 회귀”, 개인전, 신세계갤러리, 광주 |
잡지 및 기고
2024 | 평론 “채온: 열꽃, 나의 얼굴”, 아트인컬처 평론 “몽상가 S의 오디세이”, 아트인컬처 평론 “문민: 판도라의 인간 군상”, 아트인컬처 리뷰 <우주의 수, 수학> 전시 리뷰, 월간미술 칼럼 “한국 예술(K-Art)과 국제화(Internationalization)”, 국제교류진흥원 |
2023 | 칼럼 “디지털 팬더믹 시대, NFT와 미술 생태계”, 아르코 |
2022 | 칼럼 “팬더믹 이후 예술 생태계 변화 속 미술관의 역할 : 메타버스와 NFTs를 중심으로”, 뮤지엄뉴스 칼럼 “골목, 길의 존재와 시간”, 도만사 |
2018 | 평론 “미술, 현실과의 타협”외 4편, Vol. 3, 비평잡지 『전달』, Project B 발간 |
2017 | 평론 “거리의 미학 I, 소통의 장소로서 도시 공간” 외 6편, Vol. 2, 비평잡지 『전달』, Project B 발간 |
2016 | 평론 “발산마을 속 예술: 유동하는 지속의 흐름” 외 4편, Vol.1, 비평잡지 『전달』, Project B 발간 |
2011 | 칼럼 “케브랑리 박물관” 외 5편, 조선대학교 미술관 해외통신원, 조선대학교 미술관, 광주 |
논문
2022 | “도시 발전과 공공미술의 상관관계”, Vol.25, 유럽문화예술학논집 “팬더믹 이후 예술 생태계 변화 속 미술관의 역할 : 메타버스와 NFTs를 중심으로”, Vol.26, 유럽문화예술학논집 |
2021 | “도시 예술의 다양성과 도시 공간 활용을 위한 연구”, Vol.21, 유럽문화예술학논집 |
2019 | “리처드 햄블턴과 에르네스트 피뇽-에르네스트의 작품에 나타나는 서구 사회 문제의 쟁점”, Vol.10, 유럽문화예술학논집 |
2018 | “도시 공간 속 자본과 테크놀로지”, Vol.17, 유럽문화예술학논집 “미디어 도시 공간과 인간 지각의 문제”, 84권, 미학 “벤자망 보티에(Benjamin Vautier, 1935-)의 작업 세계”, 22권, 현대미술학논문집 |
2017 | “도시 공간 속 몸-이미지의 소비에 관한 비판적 소고”, Vol.15, 유럽문화예술학논집 “도시 미학과 현대예술: 리옹 시의 도시 계획 속 문화예술정책”, 제53권, 인문학연구 |
2015 | “자본주의 사회 안에서 예술의 자율성과 아방가르드 정신”, Vol.11, 유럽문화예술학논집 “스트리트 아트 운동의 등장과 전개에 대한 역사적 고찰 : 1980년대 이후부터 오늘날까지 파리를 중심으로”, 제19권, 현대미술학논문집 “아스거 요른의 대중문화론에 나타난 낙서의 미적 가치”, 제50권, 인문학연구 |